우리나라엔 지금 전에 없던 인구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출산율이 떨어져 총인구가 줄어들고, 생산연령인구와 청년인구가 급감하면서 총인구 중 고령인구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저출산, 총인구 감소, 생산연령인구 감소와 고령화 추세는 노동력과 소비 수요를 줄여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유럽은 생산과 서비스를 자동화해 생산성 하락에 맞섰다. 양성평등, 정년 연장 등 청년과 여성,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도하고 외국인 이민도 적극 받았다. 그 결과 성장률 낙폭이 줄었다. 


우리도 유럽처럼 해야 한다. 기술력 있는 외국인 이민을 적극 받고, 양성 평등과 정년 연장을 실질화해 여성·고령자·외국인의 경제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 청년이 결혼과 출산을 꺼리게 만드는 육아 부담을 줄여주고 직장 내 성차별을 철폐해야 한다. 육아휴직과 출산 여성의 원직 복직을 확실히 보장해야 한다. 안 그러면 지금 정부가 추진하는 저출산 고령화 정책은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높다. 

경제활동인구 확충과 더불어 노동생산성 향상도 중요한 과제다. 특히 미래 유망 산업이 요구하는 인재 수요에 맞게 교육 시스템을 혁신해 인적 자본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지금처럼 ‘의치한약수’로 인재가 몰리는 현실을 방치하면 미래를 낙관하기 어렵다. (2023.10 월간 The K, 한국교직원공제회 기고 요약)

Posted by 300mun
,

일본 경제는 최근 괜찮다. 성장률은 낮지만(전년대비 1% 안팎) 지난 6년간 '아베노믹스'로 재정적자를 줄였다. 실업률도 끌어내리고 여성 노동 참가율도 높였다. 

반면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낮다.(소비자물가 상승률 연 2% 이내) 무엇보다 인구가 늙고 줄어드는 속도가 빠르다. 인구 역풍이 거세지면서 거시 경제와 금융에 점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2012~2017년 사이 일본 인구는 100만명이 줄었다. 100만명이면 스톡홀름 전체 인구 수준이다.

향후 40년간 총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은 현재 10명 중 3명에서 4명 가까이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노동력도 줄고 있다. 연금 수급자 1인당 근로자 수는 1990년 5.8명에서 2000년 3.9명으로 줄었다. 2025년엔 2.1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가 진전되면 성장률과 생산성이 떨어진다. 정부가 감당해야 하는 의료와 사회보장 지출 부담은 늘어나고 과세 기반은 줄어든다. 결국 재정 문제가 심각해진다. 일본은 특히 공공부채 규모가 커서 안 그래도 재정 부담이 크다. 앞으로 공공부채 대규모 감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Posted by 300mun
,

6월 20일 경제개발협력기구 OECD가 한국경제보고서(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8)를 발표했다. OECD는 2년 주기로 회원국 경제 동향과 정책 등을 종합해 분석 평가하고 정책 권고까지 넣은 국가별 검토보고서를 발표한다.

한국경제보고서는 내용을 3대 부문(거시경제 동향과 정책, 대기업집단 개혁, 중소기업 역동성 강화)으로 구성했다. 한국 경제가 지속 성장하려면 생산성을 더 높이고 양극화를 지양하는 정책을 함께 펴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거시경제 부문 보고에 따르면 한국경제는 작년에 전년 대비 3.1% 성장했다. 최근 세계교역이 성장하는 덕에 수출이 잘 되므로 올해와 내년에도 연 3.0%씩 성장할 전망이다. 정부가 공공부문 채용확대, 사회복지지출 증가, 최저임금 인상 정책을 쓰고 있으니 가계소득과 민간소비도 늘어날 것이다.

단기 경기 전망은 양호하지만 구조는 문제가 있다.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인구고령화는 OECD 역내 가장 빨라서 성장률이 점점 느려지고 있다. 최근 이슈인 최저임금 인상이 인건비 증가에 따른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생산성을 더 끌어올려야 한다. 


Posted by 300mun
,

지금 베이비 붐 세대가 은퇴하는 현상을 보고 전체 인구 중 일부 연령층만 고령화하는 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오해다. 베이비부머 은퇴는 과거 베이비 붐 이후 발생한 출산율 하락과 평균 수명의 지속적 증가를 반영하여 전인구 고령화가 시작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인구 5172만명(외국인 포함) 중 고령인구(65세 이상)가 678만명으로집계됐다.(통계청, ‘2016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집계 결과’)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13%를 넘었고, 사상 처음으로 유소년 인구(15세 미만)보다도 많아졌다. 10개 가구 중 한 가구는 고령자뿐이다.

고령인구가 14%에 이르면 UN이 정의한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부른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에 들어섰다. 2026년이면 초고령사회에 들어설 전망이다. 

인구통계학 관점에서 볼 때 지금은 우리 나라뿐 아니라 미국도 전환기에 있다. 미국에서는 10년 전만해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2.5 %였다. 지금은 15 %. 20 년 뒤면 21 %에 이를 전망이다.

최근 미국 허친스재정통화센터(Hutchins Centre on Fiscal and Monetary) 연구원 루이즈 샤이너(Louise Sheiner)가 내놓은 정책연구논문은, 노인 인구 급증세를 감안할 때 앞으로 정부 재정이 큰 도전을 받을 거라는 논지를 폈다. 인구 고령화가 결국은 지출 삭감과 세금 인상을 조합하는 형태로 재정 정책 대폭 조정을 불가피하게 만든다는 예측이다.

미국에서는 연방 정부 예산 중 상당 부분이 노인 보조금 프로그램에 배정되어 있다. 특히 공적 연금을 제공하는 사회보장제도(Social Security), 고령자에게 건강보험을 제공하는 메디케어 (Medicare)에 돈을 많이 쓴다. 

베이비 붐 세대가 다 퇴직하고 나면 노인 보조금이 GDP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할 것이다. 그 여파로 연방정부 재정의 향후 30년을 내다보면, 앞으로 지출 증가가 수입을 크게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에서 보듯 GDP내 비중으로 볼 때 수입 증가율에 비해 지출 증가율이 훨씬 가파를 것이다.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중인 우리나라도 기본 방향은 마찬가지. 앞으로 정부 지출은 더 늘고 세금도 더 많이 걷게 될 것이다.

 


Posted by 300mu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