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3.06.06 아시아 기업들 채무 위험 높아졌다
  2. 2020.10.10 글로벌 채무 조정 서둘러야 2

글로벌 고금리 추세가 지속되면서 아시아 지역 기업들의 default(채무 불이행) 위험이 커지고 있다. 

기업의 채무 불이행 위험을 가늠하려 할 때 흔히 이자보상비율(ICR, interest coverage ratios)을 본다. 기업 수익이 부채 이자를 얼마나 충당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1보다 크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커버하고도 남지만, 1보다 작으면 이자도 다 못 내는 경우다. 

IMF 조사에 따르면, 2022년 중반 현재 아시아에서는 이자보상비율 1 미만인 기업이 기업 부채의 13.95%를 갖고 있다.(세계 평균은 16.8%) 특히 중국,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등지에 걸쳐 이자보상비율 1 미만이거나 겨우 1을 넘는 회사가 많은 부채를 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자보상비율 1 미만인 기업이 기업부채 중 22.1%를 갖고 있다.(1~4 24.1%, 4 이상 53.8%)




아시아 지역 정부, 기업, 소비자와 금융회사의 차입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훨씬 웃돈다. 당분간은 최근 몇 년간 쌓은 현금을 고금리 환경에 맞서는 버퍼(buffer)로 쓸 수 있지만, 차입 비용이 이대로 높은 수준에서 더 오래 유지되면 부도 위험이 커진다. 
아시아 기업들은 단기 부채 비율도 높은 편이다. 당장은 현금이 많아도 앞으로 신용 여건이 빡빡해지고 단기 대출을 얻기 어려워지면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다.

Posted by 300mun
,

COVID-19 대유행은 글로벌 부채 수준을 새로운 경지로 끌어올렸다. 각국이 일제히 금리를 내리고 유동성을 풀고 재정을 완화한 결과다. 
IMF 전망으로 작년말 대비 2021년 글로벌 부채비율(평균)이 선진국은 GDP의 20%까지, 신흥시장국은 10%, 저소득 국가는 약 7%까지 오른다. 

문제는 선진국과 나머지 국가의 사정이 다르다는 점이다. 선진국은 아직 대출 여력이 있지만 신흥시장국 일부와 저소득국 중 절반 가량은 추가 채무 부담 능력이 이미 한계에 이르고 있다. 이대로 가면 세계가 코로나 대유행에서 벗어나기 시작할 때쯤 후진국 다수에서 채무불이행(default), 자본 유출, 재정 긴축이 촉발되어 제2의 경제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선제적 채무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Posted by 300mun
,